숨들여마시고~
호흡기전
1. 환기란 폐로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흐름으로 흡기와 호기가 있다.
2. 호흡중추는 연수와 뇌교에 있다.
3.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에는 횡격막근, 내늑간근, 외늑간근이 있다.
기압이란 공기의 압력이다.
늑막강의 내압은 잠재적으로 늑막강내에서 존재하며 항상 대기압보다는 약간 낮다(음압)
폐내압은 기관지와 페포내의 압력을 말한다: 호흡 동안 변한다.
Respiratory movement호흡운동
흡식inspiration & 호식expiration
폐포 내압과 대기압의 差에 의해 공기가 이동된다.
흡식운동의 요인 1.횡경막의 수축[diaphragm]
2.외늑간근의 수축[external intercostal muscle]
3.복부근육의 이완[abdominal muscle]
4.계면활성체의 역할[surfactant]
표면장력의 약화로 폐포를 쉽게 확장한다.
흡식
1. 연수로부터 나오는 운동자극은 횡경막 신경을 따라서 홍경막에 이르러 수축하고 아래로 움직인다. 내늑간신경을 따라 외늑간근으로 오는 자극은 늑골을 위와 바깥 쪽으로 끌어올린다.
2. 흉강은 확장되고 장측늑막을 확장시킨다.
3. 폐내압이 하강하면, 공기가 들어온다.
호식운동의 요인 외늑간근과 횡경막의 이완으로
확장된 흉곽과 폐가 움츠러드는힘 - 탄성 반동elastic recoil에 의해
前 크기로 되돌아 오므로 폐포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표면장력의 재형성( 표면장력의 증가로 폐포가 수축되어 호식 )
호식
1.연수로부터 오는 운동 충동이 감소하면 횡경막과 외늑간근이 이완하게 된다.
2.흉강이 작아지게되고 폐를 누르게된다.
3. 폐가 탄력성 있게되어 폐포까지 압축시킨다.
4. 폐내압이 증가하면 공기가 폐밖으로 빠져나간다.
정상적으로 호기는 수동적으로 이루어진다.
5. 노력성 호기 : 내늑간근이 수축하면 늑골이 하부와 내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복근의 수축은 횡경막을 위로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