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염기 평형[acid -base balance]
통상적으로 혈액의 pH는 혈장의 pH로 대치하고 있다.
인체의 pH는 7.4로 약한 알카리성이다( 7.34 - 7.43 )
생체가 활동하는 동안 신진대사에 의해 대사산물이 계속 형성하여 pH의 변동이
야기된다. 이러한 pH의 변동은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enzyme)의 활성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대사의 과정을 교란 하게된다.
pH의 변동을 조절하는 기전을 buffer action완충작용 = buffer system완충계
㉠혈액의 완충작용
㉡폐에서의 기체의 교환( = 호흡성 조절 )
㉢신장에서의 H+ 배설( = 신장성 조절 )
pH의 조절기전은 호흡성 조절과 신장성 조절로 설명한다.
ⓐ호흡성 조절
휘발성의 탄산까스의 방출은 동량의 H 농도를 배출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호흡의 기능은 산 - 염기 평형 유지에 기여한다.
ⓑ신장성 조절
신장의 배설의 기능이 산 염기 평형을 조절한다.
비휘발성 산을 尿로 방출(배설). H 의 배설은 신장의 세뇨관을 통해서 일어난다.
H 은 세뇨관의 여과액 중에 있는 HPO4-- 또는 NH3와 결합하여 배설 되고 나머지
미량이 H 자체로 배설된다.
? HCO3/PCO2 의 比 (ratio)가 20 이 유지 될 때 pH= 7.4 恒常性 Homeostasis
산 염기의 unbalance
pH가 7.37 이하로 하강 --- 산증acidosis
7.43 이상으로 증가 -- 알카리증alkalosis
유발원인에 의해 세분화 하면 호흡성respiratory
대사성metabolic 으로 분류한다.
1. 호흡성 산증
호흡수나 효율에 있어서의 감소는 체액내에 과다한 CO2 를 축적함으로써 수소이온을
형성하여 산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한다. 심한 폐질환에서 유발된다.
2. 호흡성 알카리증
호흡수의 증가는 CO2의 배출을 증가함으로써 수소이온의 형성을 감소 시키며 산도를 증가시킨다. 과도환기나 고압상태에 처음 도달시 일어난다.
3. 대사성 산증시 호흡보상
수소이온의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산도를 올려 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CO2를 배출 하기 위해 호흡을 증가시키게 된다.
4. 대사성 알카리증시 호흡보상
산도를 낮춰 정상으로 하기 위해서 CO2 를 보유함으로써 수소이온의 형성을 증가하기 위하여 호흡을 줄이게 된다.